본문 바로가기

만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
by 지식 대장장이 2025. 3. 31.
728x90

만65살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

정의/목적

  •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저작기능 개선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및 치과임플란트 시술비용 부담완화를 위한 제도입니다.

대상

  • 만 65세 이상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
728x90

세부내용

▶ 치과임플란트란?

  • 치아가 빠진 경우 인공치아를 심어서 빠진 치아를 대체해 주는 치료방법으로 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인공치근(뿌리)을 턱뼈에 고정 시킨 후 연결기둥(지대주) 위에 인공치아를 연결하여 상실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해 주는 시술입니다.

▶ 급여내용

  • (대상자) 부분무치악 환자(완전무치악 제외)
  • (시행시기) 2014. 7. 1.
  • (적용 개수) 1인당 평생 2개
    ※ 치과의사의 의학적 판단 하에 불가피하게 시술을 중단하는 경우 평생인정개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.
  • (적용범위) 상악/하악 구분 없이 모든 부위에 급여 적용

▶ 급여재료

  • (본체식립) : 
    분리형 식립재료의 고정체(Fixture), 지대주(Abutment)는 별도 산정하고, 그 외 재료는 행위료에 포함합니다.
  • (보철수복) : 
    비귀금속도재관(PFM Crown) 또는 지르코니아 크라운
    ※ 비급여 보철재료(메탈, PFG, 골드 등) 사용 시 치과임플란트 시술 전체 비급여로 적용됩니다.

▶ 본인부담률

  •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30%
    - 차상위 대상자 : 희귀난치성질환자(C) 10%, 만성질환자 등(E, F) 20%
    ※ 본인부담상한제 제외

▶ 치과임플란트 유지관리

  • (보철장착 후 3개월 이내) :
    - 진찰료만 산정
  • (보철장착 후 3개월 초과) : 
    ① 보철수복과 관련된 유지관리는 비급여
    ② 치과임플란트 주위 치주질환 등으로 처치 및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해당 급여항목으로 산정

제공방법

▶ 치과임플란트 급여신청 방법 및 절차

  1. 치과 병(의)원에서 진료 후 치과임플란트 급여대상자 판정
  2. 환자는 치과임플란트 시술을 받을 요양기관에서 시술 동의 후, 등록 신청
  3. 치과병(의)원은 “요양기관 정보마당 > 치과치료 > 임플란트 > (건강)임플란트 대상자 신청/조회” 메뉴에서 등록 및 등록결과 확인
    ※ 「건강보험 치과임플란트 대상자 등록신청서」 를 공단(지사)에 제출하여도 등록 가능
  4. 등록확인 후 치과임플란트 시술

유의사항

  •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시술은 시술전체 비급여 적용됩니다.
    -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시술하는 경우
    - 상악골을 관통하여 관골에 식립하는 경우
    - 일체형 식립재료로 시술하는 경우
    - 보철수복 재료를 비귀금속도재관(PFM crown) 또는 지르코니아 크라운 이외로 시술하는 경우
  • 치과임플란트는 치과 병(의)원에서 등록 후 진료단계 중 다른 치과 병(의)원 이동은 불가합니다.

신청방법 및 절차

  1. 급여대상자 판정
  2. 등록신청
  3. 등록 및 결과확인
  4. 시술

※ 출처 :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


만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
만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
300x250

만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만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대상자, 적용개수, 본임부담률, 급여신청방법 등 안내

300x250
728x90

댓글